본문 바로가기

OS/Linux_CentOS

(8)
패키지 관리 0. ISO http://mirror.kakao.com/centos/7.9.2009/isos/x86_64 1. rpm : Redhat사에서 제공하는 Linux용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기능 : 의존성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의존성 : 패키지 설치를 위한 다른 패키지 또는 라이브러리 설치를 요구함) 구조) 패키지명-버전-릴리즈.아키텍처.rpm 2. YUM : 레드햇 계열의 Linux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설치 관리 도구 :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사용가능하다 : 의존성 문제에서 자유롭다 3. Local Repository
디스크 관리 - Partition, LVM 0. 디스크 사용을 위한 3단계 - Windows : 파티셔닝 > 파일시스템 생성 > 드라이브명 할당 - Linux : 파티셔닝 > 파일시스템 생성 > 마운트 ​ 1. Partition -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 디스크를 사용하기위해서는 1개 이상의 partition이 필요하다 - 1개의 물리적인 디스크는 주파티션 4개까지 생성 가능하다 - 이 중 1개의 partition을 확장partition으로 생성 가능하다 - 확장partition에는 논리partition을 12개까지 생성 가능하다 ​1) MBR 2) GPT 3) fdisk 가상머신을 종료한 후 ① n : 새 파티션 생성 ② p : 파티션 테이블 출력 ③ w : 변경된 파티션 정보를 저장하고 종료 ④ lsblk으로 확인 2. 파일 시스..
사용자 및 그룹 관리 1. 사용자 및 그룹 관리와 관련된 파일과 디렉토리 1) /etc/passwd 2) /etc/shadow 3) /etc/group 4) /etc/login.defs 5) /etc/default/useradd 6) /etc/skel 2. 사용자 및 그룹 관리와 관련된 파일 분석 1) /etc/passwd nineman: - ID :x - passwd :1000 - UID. 1000번부터 순차적으로 사용, 마지막 UID 뒤로 이어서 사용 :1000 - GID. 1000번부터 순차적으로 사용, 사용자 UID와 동일한 GID 생성 : - comment, 설명 :/home/nineman - 사용자의 Home directory, 사용자가 Login 사용할 Home directory :/bin/bash - Login..
File / Directory 관리 1. Directory : Windows에서의 '폴더' 개념 / : 최상위 디렉토리 /boot : 부팅 과정에 필요한 정보 파일들의 경로 /etc : 시스템의 대부분의 설정 파일들이 존재하는 경로 /home : 일반 사용자들의 정보가 담겨 있는 경로 /root : 최고관리자 root 계정의 home directory /var : 시스템 운용 중에 생성되었다가 삭제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경로 /usr : 응용 프로그램 기본 설치 경로 /bin :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 가능한 명령어 파일들이 존재하는 경로 /sbin : 관리자용 명령어 파일들이 존재하는 경로. 시스템 운영/관리 명령어가 존재 2. Link : 파일을 '연결'하는 개념 1) Hard link : 완벽하게 동일한 파일, 원본파일..
Linux 명령어 - 1 1. pwd : 현재 작업중인 Directory의 절대 경로 출력 2. ls : Directory의 내용 출력 옵션) (1) -a : 모든 File이나 Directory (숨김파일까지) 정보 출력 (2) -l : 메타데이터 정보까지 출력 (3) -i : inode 정보 출력 (inode : File이나 Directory를 관리하는 고유한 번호) (4) -h : File이나 Directory의 용량을 가독성 있게 변환해서 출력 (5) -R : Directory내의 하위 Directory의 모든 File과 Directory를 출력 3. mkdir : Directory 생성 (1) -p : 하위 여러 Directory 한번에 생성 4. rmdir : Directory 삭제 (1) -p : 하위 Director..
Xshell을 이용한 가상머신 연동 0. Xshell : 넷사랑컴퓨터에서 개발한 터미널 에뮬레이터이다 :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고 다양한 편의 기능을 지원한다 1. Xshell 설치 2. Xshell 연동
CentOS7 설치 + Template 생성 + 가상머신 복제 0. CentOS : Community enterprise Operating System : Red Hat에서 개발한 Linux 배포판에서 파생된 배포판 중 하나 1. CentOS7 설치 VMware로 CentOS7를 설치하고, 가상 머신을 Template으로 만들어 재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2. Template 생성 및 설정 3. Clone 생성 4. Clone 설정 이와 같은 과정으로 여러 복제본을 만들 수 있다
VMWare Network VMWare Network에는 Host-only, NAT, Bridged 세가지가 있다 1. Host-only : A private network shared with the host :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 없이 Host-only방식을 사용하는 가상머신끼리만 통신이 가능하다 : Host PC, 외부 네트워크와는 통신이 안된다 2. NAT : Used to share the host's IP address : Host PC에게서 IP를 할당받는다 : Host PC, 외부네트워크와 통신이 된다 3. Bridge : Connected directly to the physical network : 공유기에게서 IP를 할당받는다 : 공유기가 Host PC와 가상머신에 같은 네트워크 대역의 IP를 각각 할당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