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 썸네일형 리스트형 Windows Server 2019 설치 1. Windows2019 1) 설치 2) 환경 설정 (1) PC 이름 설정 (2) Windows Update 설정 (3) IP 설정 (4) 방화벽 설정 (5) ping 확인 (6) VMWare Tools 설치 (7) 전원 설정 (8) Snapshot DNS 0. DNS : Domain Name System. 도메인과 IP주소를 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 DNS서버 목록 Google Public DNS : 8.8.8.8 KT DNS : 168.126.63.1 SK Broadband : 210.220.163.82 LG U+ : 164.124.101.2 1. DNS 서버로 사용할 가상머신 설치 및 설정 - 환경구성 (NAT) OS : CentOS 7 IP : 192.168.10.10 1) 가상머신 설치 2) 가상머신 설정 (1) IP 설정 (2) 방화벽 설정 2. DNS 설치 1) 패키지 설치 BIND(Berkeley Internet Name Domain) : 가장 오래된 도메인 서비스 시스템으로 DNS의 모든 기능을 갖춘 소프트웨어 2) DNS 설정 하지만.. Windows 11 설치 1. Windows11 1) 설치 2) 환경 설정 (1) PC 이름 설정 (2) Windows Update 설정 (3) IP 설정 (4) 방화벽 설정 (5) ping 확인 (6) VMWare Tools 설치 (7) 전원 설정 (8) Memory 설정 (9) Snapshot 패키지 관리 0. ISO http://mirror.kakao.com/centos/7.9.2009/isos/x86_64 1. rpm : Redhat사에서 제공하는 Linux용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기능 : 의존성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의존성 : 패키지 설치를 위한 다른 패키지 또는 라이브러리 설치를 요구함) 구조) 패키지명-버전-릴리즈.아키텍처.rpm 2. YUM : 레드햇 계열의 Linux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설치 관리 도구 :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사용가능하다 : 의존성 문제에서 자유롭다 3. Local Repository Windows 10 설치 1. Windows10 1) 설치 2) 환경 설정 (1) PC 이름 설정 (2) Windows Update 설정 (3) IP 설정 (4) 방화벽 설정 (5) ping 확인 (6) VMWare Tools 설치 (7) 전원 설정 (8) Snapshot 디스크 관리 - Partition, LVM 0. 디스크 사용을 위한 3단계 - Windows : 파티셔닝 > 파일시스템 생성 > 드라이브명 할당 - Linux : 파티셔닝 > 파일시스템 생성 > 마운트 1. Partition -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 디스크를 사용하기위해서는 1개 이상의 partition이 필요하다 - 1개의 물리적인 디스크는 주파티션 4개까지 생성 가능하다 - 이 중 1개의 partition을 확장partition으로 생성 가능하다 - 확장partition에는 논리partition을 12개까지 생성 가능하다 1) MBR 2) GPT 3) fdisk 가상머신을 종료한 후 ① n : 새 파티션 생성 ② p : 파티션 테이블 출력 ③ w : 변경된 파티션 정보를 저장하고 종료 ④ lsblk으로 확인 2. 파일 시스.. 사용자 및 그룹 관리 1. 사용자 및 그룹 관리와 관련된 파일과 디렉토리 1) /etc/passwd 2) /etc/shadow 3) /etc/group 4) /etc/login.defs 5) /etc/default/useradd 6) /etc/skel 2. 사용자 및 그룹 관리와 관련된 파일 분석 1) /etc/passwd nineman: - ID :x - passwd :1000 - UID. 1000번부터 순차적으로 사용, 마지막 UID 뒤로 이어서 사용 :1000 - GID. 1000번부터 순차적으로 사용, 사용자 UID와 동일한 GID 생성 : - comment, 설명 :/home/nineman - 사용자의 Home directory, 사용자가 Login 사용할 Home directory :/bin/bash - Login.. File / Directory 관리 1. Directory : Windows에서의 '폴더' 개념 / : 최상위 디렉토리 /boot : 부팅 과정에 필요한 정보 파일들의 경로 /etc : 시스템의 대부분의 설정 파일들이 존재하는 경로 /home : 일반 사용자들의 정보가 담겨 있는 경로 /root : 최고관리자 root 계정의 home directory /var : 시스템 운용 중에 생성되었다가 삭제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경로 /usr : 응용 프로그램 기본 설치 경로 /bin :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 가능한 명령어 파일들이 존재하는 경로 /sbin : 관리자용 명령어 파일들이 존재하는 경로. 시스템 운영/관리 명령어가 존재 2. Link : 파일을 '연결'하는 개념 1) Hard link : 완벽하게 동일한 파일, 원본파일.. 이전 1 2 3 다음